국내여행/제주도

세계자연유산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만장굴

여주데이지 2010. 12. 29. 14:30

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은 세계 7대 불가사의를 뽑은 스위스 비영리재단

'뉴세븐원더스'가 주관하는 것으로 전화나 인터넷 투표를 통해

세계에서 자연경관이 가장 아름다운 7곳을 고르는 것 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7대 자연경관 선정을 위해 전세게 440여곳의

후보지가 신청을 하였고 전세계 네티즌 1억명의 투표결과 2007년~2009년 동안

1,2차 투표와 3차 전문심사를 거쳐

 대한민국 보물섬 제주도가 "세계7대자연경관" 최종후보지 28곳에

선정되었고 2011년 11월 11까지 최종 투표가 진행중에 있에

전화나 인터넷으로 참여할수 있습니다.

 

제주도는 KT와 협의를 거쳐 세계 7대 자연경관 전화투표에 참여하는 국민에 한해 종전 1통화(1분 20초 기준)에 1천200원이던

국제전화 요금을 144원(10초당 18원)으로 대폭 내렸다고 합니다. 

 많이 참여해주세요.

전화투표 방법~ 전화번호 (001 혹은 00700등)+44-20-334-709-01

전화연결 후 영어멘트가 끝나고 "삐~"소리 이후에 7715(제주코드)를 눌러주세요.(감사멘트 후 종료)

※인테넷 투표는 비교적 복잡하고 이메일 주소별 1회밖에 투표할 수 없지만,

전화투표는 간단하고 횟수에 제한없이 투표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투표~ http://cafe.daum.net/jejunew7/FkNb/1

 

 제주도 김녕굴 및 만장굴은 제주도 동북쪽에 있는 화산동굴지대의 대표적인 동굴로

 김녕굴과 만장굴은 원래 하나로 이어진 굴이었으나 천장이 붕괴되면서 두 개로 나뉘졌다고 합니다.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위치하는 만장굴은 전체길이 약 7,400 m, 최대 높이 약 25 m, 최대 폭 약 18 m로서 제주 세계자연유산의 한 부분인 거문오름용암동굴계(황상구 외, 2005) (그림. 1)에 속하는 용암동굴이다. 지점에 따라 2층 또는 3층 구조가 발달하는 용암동굴로서 제주도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세계적으로도 큰 규모에 속하는 용암동굴이다. 수십만 년이라는 매우 오래 전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는 동굴임에도 불구하고, 동굴 내부의 구조와 형태, 미지형, 동굴생성물 등의 보존 상태가 아주 양호하기 때문에 학술적 가치는 물론 경관적 가치도 대단히 큰 동굴로 평가된다.

만장굴 3입구에서 1입구까지의 거리는 약 4,500 m, 지표의 고도차는 약 54 m이며, 지표의 평균경사는 0.7°, 만장굴 바닥의 경사는 0.4°이다. 1°이하의 완만한 지형경사, 용암이 흐른 유도(熔岩流道; lava flow channel)나 용암제방의 흔적이 발달되지 않는 지표의 특징, 그리고 길쭉한 형태의 압력언덕 등을 종합해 보면, 만장굴을 형성한 용암은 용암천(熔岩川)의 형태로 흘러가기보다는 얇은 판상(sheet)으로 흘러 용암팽창과 터짐 현상을 반복하면서 흘렀으며, 이러한 흐름 상태에서 용암류(熔岩流)의 표면이 굳고 그 내부의 용암은 계속 흘러내려 초기 만장굴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림 1.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용암동굴들
그림 1.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용암동굴들
한편, 일부구간의 최대 동굴 높이와 최대 동굴 폭의 비(최대높이/최대 동굴폭)는 1.3으로 높이가 폭보다 크다. 이는 형성된 용암동굴에 지속적으로 용암이 공급되면서 그 바닥이 내부를 흘러가는 용암에 의하여 계속해서 열침식작용(熱浸蝕作用; thermal erosion)을 받아 동굴의 폭보다 높이가 큰, 길쭉한 협곡에 가까운 형태로 성장하게 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안웅산과 황상구, 2008).
웅장한 규모와 용암의 흐름을 잘 보여주는 용암 유선구조(流線構造; lava flowline)의 발달, 동굴 바닥의 승상용암(繩狀熔岩; ropy lava), 용암교(熔岩橋; lava bridge), 용암석주(熔岩石柱; lava column), 곳곳의 용암표석(熔岩漂石; lava raft), 용암제방, 용암선반, 부드러운 아치형 구조의 동굴 천장 등 뛰어난 동굴 내의 미지형과 구조들이 생생하게 잘 남아있으며, 특히 높이 약 7.6 m에 이르는 용암석주는 세계적인 규모로 알려지고 있다. 이 밖에도 상어이빨형 용암종유석, 용암관(熔岩管; lava straw 또는 tubular stalactite), 용암기포(熔岩氣泡; lava blister), 용암유석(熔岩流石; lava flowstone) 등의 용암 동굴생성물들이 나타난다. 동굴의 천장이 무너져 내려 푸른 하늘을 볼 수 있는 3개의 천장창(天障窓; skylight)이 발달해 있어 출입이 용이하다. 3개의 천장창 중에서 제2입구에 해당하는 중간 부분의 천장창을 출입구로 만들어 관람객들이 출입하고 있다.

벽면에 잘 발달한 용암유선

벽면에 잘 발달한 용암유선

동굴 바닥의 승상용암

동굴 바닥의 승상용암

용암교

용암교

세계 최대의 용암석주

세계 최대의 용암석주

동굴생물의 서식 환경은 제3입구의 상층굴이 가장 양호하며, 제1입구와 제2입구 사이의 하층굴과 함께 많은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만장굴은 거문오름용암동굴계 중에서 가장 많은 동굴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제주굴아기거미 등 38종이 조사되었다. 만장굴 제3입구의 상층부에는 최대 약 3만 마리 이상의 긴날개박쥐가 서식하는 경우도 있다. 동굴의 벽면에는 박테리아들이 서식한다.

용암표석

용암표석

상어이빨형 용암종유석

상어이빨형 용암종유석

용암기포

용암기포

용암유석의 한 종류

용암유석의 한 종류

만장굴은 1946년 8월경 부종휴에 의해서 최초로 탐사되었다. 1965년 중앙일보사와 문화재관리국의 후원 하에 만장굴을 포함한 제주도 용암동굴에 대한 종합학술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에 의하여 1970년 ‘한국의 동굴 (1) 제주도 용암동굴’편이 발간되었다. 만장굴의 천연기념물 지정은 1970년 3월 28일이나 이는 이미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어 있었던 김녕굴에 편입되는 형태로 지정되었다.

천장창(제2입구)

천장창(제2입구)

동면하는 박쥐

동면하는 박쥐

1980년, 1989년, 1990년, 1991년 및 1996년에 주로 일본인 학자들에 의하여 일본 지질학회지를 비롯한 외국 학술지에 만장굴이 간략하게 소개되었다. 만장굴에 대한 측량과 조사는 1970년 11월 당시의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2년 한ㆍ일 합동조사, 1987년 동국대학교 동굴탐험연구회, 1993년 북제주군, 2003년 제주도동굴연구소 등에 의해서 실시되어 총 길이는 약 7,416 m로 확인되고 있다.

만장굴은 1967년 4월 1일부터 일부구간을 개방하였다. 현재 관광동굴로 이용되고 있는 구간은 제2입구에서 상류 쪽으로 약 1,000 m까지만 공개하고 있으며, 그 나머지 구간은 동굴생태 보호구역으로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만장굴은 처음 발견 당시의 ‘만정이거멀’ 이라는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즉, ‘만정이거멀’에 있는 굴이라는 뜻으로 ‘만정이거멀’ 이라는 말의 ‘만쟁이’를 ‘만장’으로 바뀌었다. 만장굴의 한자 표기가 萬丈窟이라고 해서 ‘10,000 m에 이르는 긴 굴’이라는 뜻은 아니다.
(세계자연유산)

 

수십만년전 형성된 만장굴

다른때와는 좀 다른 느낌이네요.

만장굴 제1구간

만장굴 동굴입구는 천정이 함몰하면서 입구가 드러났고

입구 주변에는 천장에서 무너진 암석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동굴입구 주변에는

동굴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하여 독특한 식생이 분포하고 있다고 합니다.

만장굴 제1구간은 상층굴과 하층굴로 구분되며 상층굴은 길이가 약 900m,하층굴은 약 1500m라고 합니다.

현재는 안전상의 이유로 일반인에게 공개가 안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번에 왔을때 보다 만장굴 속이 좀 밝아진것 같네요.

알고보니 동굴내부를 산뜻한 LED조명으로 바꾸고

물이 많이 고이고 울퉁불퉁한곳에는 테크를 깔아 다니기가 수월했습니다.